
개요
- 관절에 통증과 변형을 일으키는 질환
- 퇴행성관절염(degenerative arthritis) 또는 퇴행성관절질환(degenerative joint disease, DJD)
- 체중부하관절 weight bearing joint (척추, 다리)에 주로 침범
- 중년과 노인에서 많이 발생
- 특징 : 관절연골 articulation cartilage의 퇴행성 변화, 관절면의 과잉 뼈 형성
원인
- 과거 : 연령 증가에 따른 노화현상 → 현재 : 다양한 내 / 외적요소 작용
일차성 또는 특발성 골관절염 primary or idiopathic osteoarthritis |
- 특별한 원인과 손상기전 없음 - 정상적인 관절이 내적 변화에 의해 발생 - 연령, 성, 비만, 나쁜자세, 유전적 요소, 가족력, 관절연골의 영양공급 불량, 윤활작용 결함 등 다양한 내적요인 작용 발병 |
이차성 또는 속발성 골관절염 secondary or successive osteoarthritis |
- 확실한 원인 있음 - 외상, 탈구, 감염, 변형, 내분비 기능 이상, 대사성 질환 등에 의해 발병 |
발생빈도
- 남성 < 여성 : 증상도 더욱 심하게 나타남
- 젊은층 < 중년 이후 : 55세 이상 약 80%, 75세 이상의 거의 모든 인구에서 방사선 검사상 골관절염 소견 보임
- 팔 (주로 어깨관절) < 다리 (주로 무릎관절, 엉덩관절)
- 손 : 몸쪽뼈사이관절 PIP joint < 먼쪽뼈사이관절 DIP joint
- 척추 : 허리척추 lumbar vertebrae, 목척추 cervical vertebrae
증상
1. 병리적 변화
- 초기
① 연골의 콘드로이틴 황산염chondroitin sulfate의 주 성분인 프로테오글라이칸 proteoglycan이 감소 또는 소실
→ 연골연화발생
② 연골의 파괴 가속화
③ 새로운 뼈 형성 시작
④ 뼈기질 증식 (두꺼워짐)
- 후기
① 윤활막 비후
② 관절연골 완전소실 : 좁아진 관절간격, 관절연골 아래 불규칙한 뼈, 관절공간 섬유화
③ 관절기능 소실
2. 방사선 소견
- 초기
① 정상
② 관절 간격이 점점 좁아져 소실
③ 염증으로인한 뼈 경화 : 방사선상 하얗게 보임, 뼈겉돌기 osteophyte (골증식체, 뼈의 뼈끝이 날카롭게 변화) 형성
3. 관절증상
- 초기
→ 활동 시 국소적 통증, 휴식 시 통증 완화 (춥거나 습한 기후에서 악화)
→ 관절경직
① 관절운동 제한 : 종창 (관절내 삼출액 소견), 압통
② 운동시 : 피로감
③ 관절기형 : 근 위축, 관절구축
→ 손가락 : 먼쪽뼈사이관절에서 헤버딘결절 huberden's nodes 나타남
→ 무릎관절 : 밖굽이무릎, 안굽이무릎 (밖굽이 < 안굽이)
④ 관절연골 소실 : 부식된 뼈끝이 서로 맞닿아서 특징적인 소리 crepitus를 냄
⑤ 관절기능상실 : 국소적 열 또는 발적

감별진단
-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
- 연골석회화증 chondrocalcinosis
- 골단이형성증 epiphyseal dysplasia
- 신경병관절병증 charcot's joint
중재
의학적처치 | 외과적 치료 | - 보존적 치료방법 - 외과적 수술 시행 : 증상 호전이 없고, 일상생활에 극심한 장애가있는 경우 ① 관절 안 유리체의 제거수술 ② 윤활막절제술 ③ 관절성형술 ④ 관절고정술 |
|
약물치료 | - 예방 혹은 치료하는 약물 없음 - 진통작용, 항염작용에 도움주는 약물 투여 ① 아스피린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(NSAIDs) - 염증성 질환에 사용 (ex.관절염, 점액낭염, 건염) - 항염, 진통, 해열 작용 ② 스테로이드 제제 - 심한 통증이 있을 때 관절공간 속에 주입 : 단시간 내에 증상 완화 → 너무 자주 사용하면 습관성이 됨 → 관절연골의 변성 촉진 |
||
물리적 인자치료 | - 초기 ① 냉치료 : 급성 통증, 관절 종창 완화 ② 만성통증경감 → 얕은열치료 : 적외선, 초욕, 온습포 → 깊은열치료 : 초음파 ③ 통증완화, 혈액순환증진, 근육연축감소 → 경피신경자극치료 TENS, 간섭파치료 ICT, 침전극치료 SSP |
||
운동치료 | 관절가동범위운동 | - 관절과 결합조직의 운동성유지 - 구축 예방 - 가동범위 제한이 있는 경우 → 수동운동, 능동보조운동, 능동운동은 관절의 상태에 따라 적용 - ex. 무릎관절 굽힘구축으로 인한 폄 관절가동범위 제한 → 통증범위 내에서 폄 증진을 위해 실시 |
|
신장운동 | - 골관절염부위 근육 단축 있는 경우 → 관절 주위의 연부조직읜 탄력성을 증진 시키기 위하여 적용 - 정적인 신장운동 : 환자 자신의 체중을 이용하는 방법 교육 → 치료사에 의한 정적인 신장적용 ① 유지-이완기법 ②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활용 - 동적인 신장운동 : 골관절염 환자에게는 비적용 → 근육 손상 초래 - 적용주기 : 1회 15초 이상의 지속적 적용 - ex. 무릎관절 굽힘구축으로 인한 폄 제한 → 무릎굽힘근의 단축 초래 → 신장운동 실시 - 골관절염으로 인한 근육 및 연부조직의 단축 있는 경우 → 단축근육의 신장운동뿐만 아니라 근육불균형 고려 → 2차적 변형 초래할 수 있는 근육 포함한 신장운동 적용 |
||
저항운동 | - 근력 유지 및 증진 위하여 시행 - 관절에 외상, 타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 - 통증범위 내 환자의 근력상태에 맞게 저항의 양과 빈도 결정, 적용 - 체중부하관절의 골관절염 → 통증과 무사용으로 위축 → 근력약화 : 저항운동을 통한 근력 증진 →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 감소 -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등척성 운동부터 실시 → 다각도 등척성 운동 → 관절가동범위 내 → 특히 약해진 부분에 대한 강화운동도 적용 가능 - ex. 무릎관절의 경우 → 무릎을 완전히 편상태에서 넙다리네갈래 수축운동적용 - 등장성운동 → 모래주머니, 탄력밴드 이용 → 근력상태에 따라 저항의 양 다양하게 적용 → 골관절염 환자의 경우 ① 체중부하 시 통증 호소 ② 열린사슬에서 운동 먼저 실시 ③ 점차 닫힌사슬에서의 운동 적용 |
||
유산소운동 | - 지구력, 심폐능력 증진 → 걷기, 자전거타기 등 - 반복적인 체중부하 시 통증 호소 → 물의 부력 이용한 수중운동 추천 - 비만인 경우 → 체중감소 교육 |
||
균형운동 | - 고유수용성 감각 증진 - 통증 및 관절의 움직임 제한 → 낙상사고로 인한 2차적 손상 초래 위험 - 관절에서의 감각적 피드백 저하 → 시각적 정보 이용한 균형 유지 → 시각적 정보 차단하고 실시 - ex. 눈을 감은 상태로 한쪽 다리 서기 → 운동 강도 증가 :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균형운동 |
||
정형도수치료 | - 관절가동범위 증가 : Ⅲ 단계의 신연 및 진동 적용 - 통증 감소 목적 : 관절가동술 적용 (Ⅰ 또는 Ⅱ단계 신연 및 진동) - 관절의 불안정이 의심되면 주의 |
||
예방 및 관리 | - 환자 및 보호자 교육 : 환자의 심리적 안정 도모 - 관절 과다사용금지에 대한 교육, 에너지보존의 법칙에 대한 교육 - 엉덩관절의 굽힘 / 모음변형, 무릎관절의 굽힘구축, 밖굽이 / 안굽이무릎, 발목관절의가쪽젖힘 변형 등이 나타나지 않도록 생활 속에서의 관리 필요 - 독립적 보행 어려움 |
'HARU-중재 > 관절질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중재] 건선성 관절염(psoriatic arthritis) (1) | 2023.11.23 |
---|---|
[중재 ] 혈우병성 관절염(hemophiliac arthritis) (1) | 2023.11.22 |
[중재] 통풍성 관절염(gouty arthritis) (0) | 2023.11.21 |
[중재] 류마티스 관절염 RA / 골관절염 OA 비교 (0) | 2023.11.20 |
[중재] 류마티스 관절염(rheumatoid arthritis, R/A) (0) | 2023.11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