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요
- 정강뼈의 안, 가쪽관절융기에 부착 된 두 개의 연골륜 : 안, 가쪽 반달 연골
- 반달 모양 형태
- 가쪽 : 두꺼움, 다소 작음, 원형
- 안쪽 : 얇음, 큼, 넓은 폭, 무릎가로인대가 자리함, 관절피막인대에 부착되어 있음 (적은 운동성)
- 반달의 앞면에는 무릎가로인대가 자리하고 있음
- 기능 : 무릎의 안정성, 정강뼈와 넙적다리의적합성, 무릎곁인대의 보강, 무릎최선복귀 등
- 손상 : 대개 무릎관절 굽힘상태에서 갑자기 폄 위치가 될 때, 굽힘에서 폄을 할 때 외반력과 비틀림이 동반될 때 호발
① 가쪽반달연골 < 안쪽반달연골
② 서양 : 안쪽반달연골 손상 호발 (↔ 동양 : 가쪽반달연골)
③ 안쪽 및 가쪽반달에 힘이 가해지는 방향, 뼈의 돌림방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
④ 고정된 다리에 넙다리의 안돌림력이 가해지면 안쪽반달연골 손상 (↔ 가쪽반달연골 손상)
임상적 증상
- 무릎관절 잠김 locking 현상
→ 무릎관절 운동할 때 굽힘자세에서 폄이 어느 각도에서 억제, 무리해서 움직이면 잡음과 함께 재차 신전 가능한 증상
→ 원인 : 파열된 연골편이 관절면 사이에 꼬임을 일으키는 것
- 굽힘 10 ~ 30도에서 무릎이 고정되는경우 안쪽반달연골열상 의심
- 70도 이상의 각도에서 잠김이 나타남 : 바깥쪽반달연골의 후방면 열상 의미
→ 탄발음 무릎 snapping knee
- 반달연골손상과 윤활막 인대 닿는 곳의 손상 : 삼출액 증가
→ 무릎뜸 floating patella 현상 나타남
→ 보통 48 ~ 72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열상에서도 급성 관절 혈종이 생길 수 있음
→ 꺾이는 무력감 현상 giving way (버클링 buckling)
① 흔히 반달연골의 뒤돌기부 손상에서 발생
② 환자는 무릎관절을 매우 불안정하게 느낌
③ 지면이 편평하지 못한 곳을 걸을 때
④ 계단을 내려가거나 뛰어내릴 때
⑤ 무릎관절이 안정성을 잃고 갑자기 무력해짐
→ 손상 후 며칠이 경과 : 운동 제한으로 넙다리네갈래근 위축 (특히 안쪽넓은근 위축 심함)
- 손상형태
① 세로형 파열 longitudinal tear : 안쪽반달연골 호발
→ 가로파열 transverse tear : 가쪽반달연골 호발
② 빗파열 oblique tear
③ 퇴행성 파열 degenerative tear
④ 방사상파열 radial tear
⑤ 수평파열 horizontal tear
⑥ 양동이손잡이형 파열 bucket handling tear : 가장 호발
진단과 평가
1. 이학적검사
(1) 맥머리검사 mcmurray test
- 반달연골이 어느 부위인지 구분해주는 검사방법
① 바로 눕힌 자세
② 무릎관절 완전히 굽힘상태
③ 정강뼈 가쪽돌림시키면서 폄
A. 퉁김소리 (탄발음 snap) : 안쪽반달연골 손상
① 바로 눕힌 자세
② 무릎관절 완전히 굽힘상태
③ 정강뼈 안쪽돌림시키면서 폄
B. 딸깍 또는 퉁김소리 : 가쪽반달연골 손상
- 급성통증상태라면 시행 불가
→ 검사 자체가 무릎 관절에 조직액 삼출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
(2) 아프레이 검사 apley test
- 압박검사 compression test
① 검사용 침대 위에 한쪽다리를 90도 굽힘 시킨 상태로 엎드린 상태
② 발뒤꿈치를 아래방향으로 내리눌러 정강뼈 사이의 안, 가쪽반달연골 압박
③ 다리를 안쪽돌림이나 가쪽돌림 시킴
④ 통증유발 : 반달연골 손상
- 떼어당김검사 distraction test
→ 반달연골과 주위 연부조직의 손상 유무 확인 위해 시행
① 엎드린 상태
② 무릎관절 굽힘 → 다리를 떼어당김하여 검사
③ 더 심한 통증 호소 : 반달연골 < 다른 연부조직 손상 의미
(3) 웅크림검사 squatting test
- 양 다리를 안돌림, 가돌림하여앉고 서기
→ 반달연골이 관절면 사이에 끼어서 통증 발생
(4) 왓슨 존슨 검사 watson jones test
- 바로 누운 자세
- 무릎관절 최대한 폄
- 손상부에 일치하여 통증 호소
(5) 되튀김검사 bounce home test
- 반달연골의 단열, 무릎관절 내의 유리체, 관절공간 내의 종창 등
→ 무릎관절 폄이 안되는 것을 검사
① 바로누운 자세
② 무릎 굽힘한 후에 폄
③ 무릎 폄 동작이 충분하지 못함
2. 의학적 검사
(1) 관절경검사 arthroscopuy test
- 무릎관절 절개를 시행하지 않고 정확한 진단을 내려 적절한 치료를 하기 위함
- 1918년 일본의 takagi에 의해 최초로 도입
- 무릎관절 안쪽부의 병변에 대한 진단
- 손상부위와 범위를 직접 관찰 → 무릎관절 안쪽부 병변의 진단과 치료에 꼭 필요한 방법으로 이용
(2) 관절조영술 arthrography test
- 공기나 조영제를 관절 안에 주입한 다음 관절 간격에 대해 수직으로 여러 방향의 방사선 촬영을 하여 진단
- 반달연골손상의 확진률이 매우 높음
(3) 기타 검사법
- 비침습성 noninvasiveness 방법
① 단층촬영 CT
② 자기공명영상 MRI
중재
1. 의학적 처치
- 안 / 가쪽 반달연골에 확실한 파열이나 찢어짐 유발, 부분파열에서 비수술적 관리가 성공적이지 않을 때 : 수술적 중재 필요
- 혈관이 부족하여 재생 능력이 어려워 심한 파열 시 : 절제와 관절경으로 반달연골을 적출하는 수술 시행
→ 완전 / 부분적 적출술
- 변연부 손상 : 연골봉합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 보고
- 치유능력 불량 : 봉합수술 시행
- 첫 4주간 : 체중부하와 무릎관절 60도이상 굽힘 운동을 제한
→ 봉합부위 보호, 치유 능력에 도움
2. 물리적 인자치료
- 수술 후 반달연골치료를 위한 중재의 구성과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
① 파열부위의 위치와 크기
② 파열 패턴과 복장성
③ 수술 중 보여준 봉합 고정의 안정성
④ 무릎관절의 정렬 (정상, 안굽이, 밖굽이)
⑤ 다른 수반된 손상
- 처음 : 고정기로 무릎을 완전 폄으로 고정
- 수술 후
① 며칠 내에 압박 드레싱을 제거 → 긴다리보조기 착용
② 주변부위를 치료하는 환자의 경우 → 수술 후 드레싱을 제거한 후 보조기를 사용하지 않음
③ 부종조절 : 허벅지에 고압박 스타킹 지속적 착용
④ 첫 주 동안 : 치유된 반달연골 보호 → 경첩보조기 밤, 낮 착용 → 정상운동범위 운동을 하는 동안 보조기 제거
⑤ 손상부위와 치료에 따라 : 보조기는 첫 2주 동안은 0 ~ 90도 이상으로 굽혀지지 않게 고정
⑥ 보조기 범위 : 한주에 10도씩 증가, 환자가 완전하게 무릎이 펴진다면 일상활동을 하는 동안 보조기 고정시키지 않음
- 반달연골 이식 후
① 보조기 몇 주 동안 착용
② 보존적인 치료 + 물리적인자치료
③ 부종, 근력 약화, 유착, 위축, 통증 등을 방지 : 냉 / 온열치료
④ 전기치료, 운동치료 (발목펌핌운동) 등 실시
⑤ 보존적 치료 : 무릎관절 부하가 가장 적은 안정적인 위치에서 20 ~ 30도 굽힘
→ 석고와 덧대로 2 ~ 4주간 고정, 소염/ 진통제
3. 운동치료
- 운동과 발목보행훈련 : 수술 후 첫날 시행
① 무릎의 능동보조 관절가동운동, 능동 관절가동운동으로 시작
② 무릎 굽힘 : 움직임을 조절하는 경첩 보조기로 제한
③ 앉은 자세 : 중력보조 무릎 굽힘
④ 바로 누운 자세 : 능동 발꿈치 활주로 진행하는 것과 같은 운동
- 수술 후 4주, 운동 목표
① 기능적 정상운동범위 유지
② 무릎뼈 제한 예방
③ 무릎근육 조절
④ 자세안정성회복
⑤ 무릎과 엉덩부의 근력과 유연성 증진
⑥ 심폐기능 유지
- 4주
① 완전하게 능동 무릎 폄 유지
② 첫 2주 : 60 ~90도로 변화, 최대굽힘 유지
③ 4주 후 120도로 무릎의 굽힘 수행
- 지속적 수동운동 CPM : 의사의 결정에 대라 처방
- 수술이나 고정기간 : 넙다리네갈래근의 위축 방지
→ 등척성 운동 즉시 시행
- 혈종이 없을 때
① 환자의 회복정도에 따라 관절가동운동
② 지팡이 및 평행봉에서 훈련 : 부분 체중부하운동 → 전 체중부하운동 (서서히 진행)
- 무릎관절굽힘 각도 증가 : 반달연골에 박박력이 증가하기 때문
→ 60도 이상에서는 반달연골이 뒤쪽어긋남이 되므로 체중보하와 굽힘운동할 때 세심하게 조절
- 신경근육 조절, 고유수용기 그리고 균형을 위한 닫힌사슬운동을 점진적으로 시행
- 기증적 활동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제공
- 기능적마사지 적용 : 삼출액 감소, 유착방지 등 예방
4. 정형도수치료
- 무릎뼈 가동성을 위해 : I, II 등급 무릎뼈 미끄러짐 운동 실시
- 완전한 무릎관절의 정상운동범위가 회복되기 어려움 → 낮은 부하로 장기간 신장운동 진행
예방 및 관리
- 교육
① 침상안정, 구축 변형을 막기위한 부목 사용을 포함한 관절을 보호하는 방법
② 정상운동범위와 가동성을 유지하기 위한 근육운동
③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는 안전하고 기능적인 동작
- 굽힘과 폄 활동 (앉은 자세에서 일어설 때, 계단을 오를 때)
→ 무릎관절 굽힘과 무릎뼈 압박의 양을 줄이기
① 계단 사용 최소화, 변기 높게 하여 앉기, 너무 깊거나 낮은 의자 사용 피하도록 지시
② 환자가 걷는 동안 팔을 통한 힘의 분배를 위해 부목, 지팡이, 보조기 사용
- 부분 반달연골 절제술을 받은 환자 : 너무 빠르게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
→ 관절삼출 과정 재발, 관절면 손상
- 조깅, 점프와 같은 충격이 높은 체중부하활동 : 무릎에 부가되는 관절손상
→ 그 이상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신중하게
'HARU-중재 > 연부조직 병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중재] 발꿈치힘줄 손상(achilles tendon) (0) | 2023.12.20 |
---|---|
[중재] 발목관절인대 손상(ankle ligament) (1) | 2023.12.19 |
[중재] 무릎관절 곁인대 손상(collateral ligament) (0) | 2023.12.17 |
[중재] 무릎관절 십자인대(cruciate ligament) (1) | 2023.12.16 |
[중재] 궁둥구멍증후군(piriformis syndrome) (2) | 2023.12.15 |